본교의 교양과목 체제는 모든 신입생이 필수적으로 이수해야 할 공통교양과 7개의 영역 중 3개 이상의 영역을 반드시 필수로 선택하여 영역 내 과목을 이수해야하는 핵심교양으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습니다.
※ 각 단계마다 선택하면 자세한 정보를 볼 수 있습니다 ※
입학 전 캠프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SW교육 프로그램 운영
비전공자와 전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입학 전에 진행하는 SW교육 프로그램은 정보사회 및 정보 컴퓨팅 환경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활동을 체험해 보도록 하고 있습니다.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SW교육 프로그램 운영
비전공자와 전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입학 전에 진행하는 SW교육 프로그램은 정보사회 및 정보 컴퓨팅 환경에 대한 이해를 목적으로 다양한 프로그래밍 활동을 체험해 보도록 하고 있습니다.
비전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SW교육 프로그램 운영
비전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컴퓨팅 환경에 대한 체험과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합니다.
누구나 쉽게 따라할 수 있는 프로그래밍 활동을 목표로 언플러그드, 스크래치, 앱인벤터 등의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하여 간단한 SW를 제작해 볼 수 있습니다.
교육 프로그램(입학전 3일간)
구분 | 1일차 | 2일차 | 3일차 |
---|---|---|---|
오전 | 정보사회 및 정보 컴퓨팅 환경의 이해와 프로그래밍 |
스크래치 프로젝트 기획 | 앱 프로그래밍 기초화 환경 이해 |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기초 | 스크래치 프로젝트 개발 | 앱 프로그래밍 기초 | |
오후 | 스크래치를 활용한 예제 프로그램 만들어 보기 (따라 해볼 프로그램 제공) |
컴퓨팅 알고리즘 이해 및 언플러그드 활동 |
간단한 앱 개발 |
전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하는 SW교육 프로그램 운영
전공자 신입생을 대상으로 웹 기반의 컴퓨팅 환경과 피지컬 컴퓨팅 환경에 대한 체험과 간단한 알고리즘을 이해하고 구현하는 활동을 제공합니다.
컴퓨팅 환경의 이해와 컴퓨팅 사고력 향상을 목표로 스크래치, 파이선, PHP, 아두이노, 라즈베리파이 등의 프로그래밍 도구를 사용하여 간단한 SW를 제작할 수 있도록 합니다.
교육 프로그램안(입학전 4일간)
구분 | 1일차 | 2일차 | 3일차 | 4일차 |
---|---|---|---|---|
오전 | 정보사회 및 정보 컴퓨팅 환경의 이해와 프로그래밍 |
컴퓨팅 알고리즘 이해 및 언플러그드 활동 |
웹 프로그래밍 개념 및 환경 이해 |
피지컬 프로그래밍 개념 및 환경 이해 |
스크래치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기초 |
파이선 프로그래밍 기초 | 웹 프로그래밍의 이해 | 피지컬 프로그래밍 기초 | |
오후 | 스크래치를 활용한 간단한 SW 제작 |
파이선을 활용한 프로그래밍 |
웹 프로그래밍의 활용 | 피지컬 프로그래밍 활용 |
정보적 사고
1학년 신입생은 정보적 사고 강좌를 필수공통교양으로 이수
세부 학습내용은 정보적 사고 함양을 위한 기본 SW정보 교육으로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인터뷰와 소프트웨어를 소개하는 주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외국인 학습자를 위해 영어 자막을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캡션자막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차후 오픈교육 플랫폼에 탑재하여 누구나 소프트웨어 기초교육을 들을 수 있도록 하고 있습니다.
과목개요 | 본 과목은 인문/사회/자연/예체능/의학 등의 계열에 상관없이, CS(Computer Science) 전공여부를 불문하고, CS의 기본 내용과 프로그래밍을 이용하여 컴퓨터의 범용성을 기반으로 문제를 발견하고, 설정하고, 깊이 생각하고, 시행착오를 겪고, 궁극적으로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서 능동적인 학습방법과 폭넓게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
---|---|
학습목표 | CS의 내용과 관련된 제반 지식의 개요를 이해하고 프로그래밍 실습을 통한「정보활용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세부적으로는 컴퓨팅의 이해와 활용능력, 정보활용의 실천력, 정보사회에 참여하는 태도 등의 함양을 목표로, 궁극적으로는 계산의 원리 이해와 실천을 통해 미래 사회에 더욱 광범위하게 응용될 정보기술의 확산/보급에도 당황하지 않고 맞서나갈 수 있는 능력의 배양을 목표로 한다. |
핵심교양
핵심교양은 7개의 영역으로 구성
핵심교양은 7개의 영역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각 영역 당 다양한, 해당 과목들이 개설되어 있습니다. 모든 학생은 7개의 영역 중 3개 이상의 영역을 반드시 필수로 선택하여 영역 내 과목을 이수하여야 합니다.
핵심교양내 Computational thinking 관련 개설 과목은 다음과 같으며 매년 2개 강좌가 추가 신설되고 있습니다. 특히 데이터로 표현하는 세상은 한 학기 450여명의 학생이 수강하고 있는 대단위 강좌입니다.
교과목명 | 개설학과/교수명 | 개설학기 |
---|---|---|
과학적사고와 과학적방법 | 물리학과/조동현 | 2학기 |
본 과목에서는 과학의 내용을 전달하기보다는, 과학자들이 세상을 바라보는 관점과 연구를 위해서 동원하는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과학자처럼 생각하는 자세와 방법을 익히도록 하고자 한다. | ||
정보보호의 이해 | 정보보호대학원/이상진 | 2학기 |
정보의 생성, 유통, 보관에 있어서 정보보호는 매우 중요한 필수요소이다. 따라서 합법적 정보의 사용자 측면에서의 정보보호 기술 및 불법적 사용자에 대응하기 위한 정보보호 방어기술을 습득한다. 이를 위하여 암호 기술, 해킹, 디지털포렌식 등 다양한 기술적 측면을 살펴본다. 또한 이러한 기술을 운용하기 위한 제도를 살펴보고 향후 정보보호의 패러다임에 대하여 살펴본다. | ||
암호학의 이해 | 정보보호대학원/홍석희 | 2학기 |
과거에 사용되는 암호의 사용부터 현재 사용되는 암호까지 다양한 암호의 개념에 대하여 소개하고 암호 메커니즘을 이해하기 위한 기본지식을 습득하고 이를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 ||
과학기술과 창업가정신 | 전기전자공학부/김규태 | 2학기 |
본 강좌는 다양한 스타트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1) 세상의 변화 속에 기회를 발견하고 2)기회를 창조로 실현하는 창조역량을 키워 3) 스스로 미래를 개척하며 살아가는 인재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자 한다. | ||
실험의 과학 | 뇌공학과/석흥일 | 1학기 |
Machine Learning (ML), a subeld of Art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playing core roles in various eld of sciences and technologies, melting into our daily life in ways. This course is dedicated to help students to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fundamentals of ML and to recognize its importance by looking at the state-of-the-art technologies. | ||
효율적 데이터분석 기법 | 뇌공학과/Siamac Fazli | 2학기 |
A large number of scientific as well as industrial fields depend heavily on data intelligent data analysis techniques, among them are Biology, Finance, The Web. Most of modern science. Goo0d skills in data analysis are among the most important abilities today. The students of this course will learn how to approach any type of data set and apply some basic algorithms in order to explore the data in a meaningful way. Every new concept will be introduced with a focus on applications with examples, rather than mathematical details. | ||
인문사회학을 위한 수학 | 수학과/최정환 | 1학기 |
인문계 학생을 대상으로 수학의 기초 이론과 응용에 대하여 공부한다. | ||
양적유전학 | 생명과학대학/홍기창 | 2학기 |
양적형질의 유전현상에 대한 통계유전학적 분석을 통하여 학생들의 정량적인 사고력을 증대시킨다. 이를 위하여 집단의 유전적 조성과 이의 변화 방향 및 변화량을 통계유전학으로 분석하고, 양적형질 발현에 대한 통계학적 해석 방법을 탐구한다. 또한 개체의 유전적 가치를 해당 개체와 방계친척간의 혈연계수 및 근교계수를 이용하여 추정한다. | ||
데이터로 표현하는 세상 | 컴퓨터학과/김현철 | 2학기 |
이 세상의 모든 객체들과 현상들은 정량적인 데이터와 추상적인 정보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간의 상호작용적 관계를 분석적인 모델로 만들어 냄으로써 우리는 세상을 이해하려고 노력한다. 이 강좌에서는 이를 위한 여러 가지 이론들과 기법, 그리고 방법론을 습득하게 하며, 세상의 여러 가지 현상들을 예로 들어 그들의 추상적인 관계에 대한 이해를 갖게 하고자 한다. | ||
하이퍼텍스트와 계산 가능성 | 컴퓨터학과/박성빈 | 1학기 |
본 강좌에서는 창의적이며 정량적으로 사고하는데 필요한 모델, 분석, 계산문제 해결등에 대해 다루되 인터넷 서핑을 할 수 있을 정도의 컴퓨터에 대한 지식만 있으면 전공에 관계없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이퍼텍스트 구조를 가지는 다양한 주제들에 대해 강의합니다. | ||
빅데이터 분석과 해석 | 경영학과/정호원 | 2학기 |
본 과정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예: 기업이나 정부가 인터넷에 공개 데이터, 개인이 수집 또는 찾아낸 데이터)를 빅데이터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1) 자동으로 분석하고, (2) 숨겨진 패턴을 발견하고, (3) 해석하는 실습을 한다. 이를 통해 왜 빅데이터 분석이 필요한지 이해하고, 그 무한한 가능성에 도전한다. 본 과목에서는 분석하고자하는 데이터의 내용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며, 통계학이나 컴퓨터관련 과목의 사전 이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 ||
컴퓨팅사고력과 빅데이터 분석 | 컴퓨터학과/ | 2학기 |
컴퓨터 비전공자들을 위한 컴퓨터 관련 과목으로 컴퓨팅 사고력에 중심이 되는 문제 단순화(abstraction)와 문제 해결 전략(algorithm)에 대한 개념을 쉽게 설명한다. 현실 세계의 문제에 대해 문제 단순화와 문제 해결 전략 설계 과정을 통해 모델링하고, 텍스트 기반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Blockly를 통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을 다룬다. | ||
기계학습의 이해와 활용 | 뇌공학과/석흥일 | 1학기 |
Machine Learning (ML), a subeld of Articial Intelligence (AI), has been playing core roles in various eld of sciences and technologies, melting into our daily life in ways. This course is dedicated to help students to learn the basic concepts and fundamentals of ML and to recognize its importance by looking at the state-of-the-art technologies. | ||
뇌영상의 이해와 활용 | 뇌공학과/이종환 | 1학기 |
인간의 뇌에 대한 관심과 중요성이 점점 증가함에 따라서 본 강의에서는, 뇌의 구조와 기능을 이해하기 위한 과학적 측정 방법들을 소개하고 그 활용 예에 대해서 배우고자 한다. 우선, 뇌영상측정 방법으로 과거의 X 선 시스템에서부터 가장 최신 기술로 활발히 사용되는 MRI 시스템의 동작 원리를 소개하고, 이러한 시스템으로 인간의 뇌기능을 분석한 활용 예들을 간단히 소개하고자 한다. | ||
생활속의 생물학 | 바이오시스템공학과/정남현 | 1학기 |
일반 비전공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여 생물학적인 현상과 원리를 간단하고도 쉽게 강의하여 생명 과학이 우리의 일상생활과 사고방식에 어떤 영향을 줄 수 있는지를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더 나아가 생명 현상에 대한 신비한 의문을 어떠한 새로운 기술들을 이용하여 밝혀나가고 있는지도 아울러 강의함으로써 생명유전공학으로 만날 수 있는 여러 기술들에 대한 교양 차원의 이해를 도모한다. |
SW중심대학 사업단에서 개발한 컴퓨팅사고력 교재

김현철 외 2인
생능출판사, 2016.02

임희석 외 2인
휴먼사이언스, 2016.02

김현철
고려대학교 출판부, 2014.02
전공선택
비전공 학과에서도 Computational Thinking 과목 확대 개설
비전공 학과에서도 Computational thinking 과목을 확대 개설하고 있으며 자신의 전공과 코딩교육을 통해 SW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습니다.
교과목명/교수명 | 실습언어 | 개설학기/대학 |
---|---|---|
도구로서의 컴퓨터/홍정하 | Python | 1학기/문과대학 |
코딩교육의 목적을 프로그래머 양성이라 보기 쉬우나, 코딩교육의 궁극적 목적은 문제해결 능력, 창의성 등 정보사회에 적합한 사고 능력을 지닌 인재 양성이다. 전산언어학, 코퍼스언어학 연구를 위해서도, 빅데이터를 다루기 위해서도 프로그래밍 언어의 활용 능력은 필수적이다. 이 강의에서는 가장 활용도가 높은 프로그래밍 언어 Python을 학습하며, 프로그래밍 스킬보다는 연습문제 풀이를 통해 프로그래밍 기본 원리 및 문제해결 능력, 창의적 사고 함양에 초점을 둔다. 이를 토대로 언어 데이터를 다루는 기본 방법론을 다룬다. | ||
의공학 프로그래밍/성준경 | 매트랩 | 1학기/보건과학대학 |
This course introduces the basic concept of biomedical programming, including data structure, fundamental algorithm, matlab programming skills, etc. This course aims at developing fundamentals of biomedical programming. | ||
확률과 통계 및 연습/양성덕 | Python | 1학기/이과대학 |
본 과목은 확률과 수리통계에 관한 기본 이론과 함께 이론을 실제 자료에 적용하여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는 컴퓨터 활용 능력을 다룬다. 학습내용은 1) 파이썬 프로그래밍 언어로 베이지안 통계를 배우고 이해할 수 있다. 2) 추정, 예측, 의사 결정 분석, 증명, 가설 검정에 이르는 다양한 문제를 다룰 수 있다. 3) 동전, M&M 초콜렛, 던전 앤 드래곤 게임, 페인트볼, 하키 같은 간단하고도 재미있는 예제로 내용을 익힐 수 있다. 4) SAT 점수 해석, 신장암 시뮬레이션, 미생물 같은 실생활의 문제를 계산적 방법론을 통해 접근할 수 있다. |
선택교양
선택교양
비전공 학과에서 Computational Thinking 과목 확대
교과목명 | 학점(시수) | 개설학기 |
---|---|---|
인터넷 입문 및 실습 (정보대 컴퓨터학과, 정통대 컴퓨터통신공학부 수강불가) |
3(4) | 전학기 |
이 과목은 웹에 대한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웹 사이트를 만드는 기본 언어인 HTML, 보다 편리한 페이지 구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CSS 를 다양한 실습 예제를 통해 익힐 수 있는 인터넷 홈페이지 작성에 대한 기초 과목입니다. 인터넷 등장 배경 및 급변하는 인터넷 환경에 대한 이해와 인터넷 서비스에 대한 기본 원리를 이해하고 HTML5, CSS3를 이용하여 인터넷 사이트 제작의 기초적인 지식을 배우고 제작한다. | ||
인터넷 활용 및 실습 (정보대 컴퓨터학과, 정통대 컴퓨터통신공학부 수강불가) |
3(4) | 전학기 |
인터넷의 전반적인 기본 이해를 바탕으로 다양한 웹 활용을 익히고, 웹 사이트를 만드는 기본 언어인 HTML, 보다 편리한 페이지 구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CSS, Java를 학습하는 과목입니다. | ||
정보과학 개론 (정보대 컴퓨터학과, 정통대 컴퓨터통신공학부 수강불가) |
3(4) | 전학기 |
컴퓨터의 이해를 위해 필요한 이론적, 실제적 기초 지식과 생활에서 많이 활용되는 대표적인 프로그램인 엑셀과 파워포인트 사용법에 대해 다룬다. | ||
모두를 위한 파이썬 프로그래밍 | 3(4) | 2학기 |
이 과목은 개인용 PC 와 인터넷만 있으면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원리가 무엇인지, 고등학교 시절에 수학이나 물리과목에서 추상적으로 배웠던 개념들이 어떻게 컴퓨터를 이용해서 구체화될 수 있는지, 그리고 정보의 생산과 유통을 혁신적으로 변화시킨 전자화된 정보 저장 방식과 인터넷이 어떻게 소프트웨어로 동작하는지 원리를 배우고 Python 이라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이용하여 간략화된 형태로 실제 동작시켜 보는 경험을 하게 될 것입니다. ※ 본 강좌는 비전공자 학생들을 위해 2016-2학기에 개설된 코딩 프로그램 강좌입니다. |
방학특강
2016년 방학특강 일정
[여름방학] iOS, 안드로이드 앱개발 무료 특강 수강생 모집 (자세히보기)
iOS 앱개발 특강 운영
Application Prototyping & Programming / 총 112시간.(방학 중 2개월 집중 특강)
재학생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도록 애플코리아의 공식커리큘럼과 애플공인강사에 의한 체계적인 특강을 매년 운영하고 있습니다.
2016년 2월 종료된 특강의 만족도 설문결과, 5점만점에 학생 평균 4.47점로 매우 만족으로 조사되었습니다.



인문사회계 학생을 위한 MATLAB 프로그래밍 특강 운영
인문사회계열 SW비전공자 30명
프로그래밍 기초 및 응용
2015년 겨율방학 특강